1만 시간의 법칙, 이상훈 2012, 위즈덤하우스
- Yongjin
- 2015년 1월 23일
- 2분 분량
1만 시간의 법칙
좋아하는 일을 꾸준히 연습하면 작은 목표를 성취하게 되고, 이를 통해 자신감을 얻는다. 자신감은 그 일을 더욱 좋아할 수 있도록 해주면 연습에 몰입할 수 있는 의욕도 북돋운다. 이로써 더 큰 목표를 성취하고 자신감도 더욱 단단해진다. 즉 좋아하는 일을 찾아, 신중한 연습을 하며 성취와 자신감을 얻는 선순환을 이루는 것이다. 1만 시간의 선순환을 거치고 나면 ‘고수의 제단에 오를 자격이 주어진다. 이 선순환은 시간이 지날수록 가속도가 붙는다. 눈사람을 만들 때 처음 눈을 뭉쳐 덩어리를 만드는 것은 어렵지만 일정한 크기가 되면 말 그대로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것과 같은 원리다. 선순환이 지속될수록 그 효과는 더욱커지고 속도도 빨라진다.
연습의 위력
1단계: 좋아하는 일 발견하기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할 때는 시간이 가는 것도, 피곤한 것도 모른다. 반면에 누가 억지로 시킨 일에는 금새 지루함을 느낀다.
◦좋아하는 것이 고정불변이 아니라는 것이다. 무엇을 좋아하게 되는 데는 ‘지식’, ‘경험’ ‘개인적 특성’이라는 세 가지 변수가 영향을 미친다. 얼마나 알고 있는지, 얼마나 경험했는지, 그리고 남과 다른 나만의 기질이나 취향이 무엇인지에 따라서 좋아하는 것이 달라질 수 있다. 지식과 경험이 시간과 더불어 변한다는 점이다. 시간이 지날수록 아는 것이 축적되고 세상과의 접촉도 확대된다. 이에 따라 좋아하는 것도 계속 변한다.
◦‘좋아함의 비극’은 자신의 능력이나 주변 여건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좋아한다는 이유로, 또는 좋아한다고 느끼는 이유만으로 어떤 일에 덤빌 때 벌어지는 현상이다. 좋아한다는 느낌을 맹목적으로 추종하다간 실패가 따르기 쉽다. 성인이라면 하고 싶은 일과 할 수 있는 일을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 더불어 아무리 좋아하더라도 재능이 없다면 빨리 포기하는 게 낫다. 불굴의 정신도 큰 미덕이지만 그 정신을 발휘하기 전에 포기할지 여부를 전략적으로 판단하느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SWOT 분석: 장점(Strenth), 약점(Weakness), 기회(Opportunity), 위협(Threat) 즉, 나의 능력, 현실적인 제약, 최선의 결과, 최악의 결과를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2단계: 연습이 유희가 된다
◦신중한 연습에는 ① 몰입해야 한다. 연습을 하되 늘 깨어 있는 상태로 연습에 수반되는 모든 움직임에 신경을 집중해야 한다. 신중한 연습에 실패하는 사람이 많은 이유는 이 단계에서 타성에 빠지기 쉽기 때문이다. ② 새로운 방식도 요구된다. 사람들은 무언가를 연습할 때 자신이 이미 알고 있으며, 그동안 해온 방식을 반복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신중한 연습을 하려면 기존 방식에 얽매이지 않고 좀 더 효과적인 방식을 찾아내 끊임없이 시도해야 한다. 예전 방식을 답습해서는 과거의 성고를 넘어서기 어렵기 때문이다.
◦몰입과 혁신이 어우러진 연습은 즐거움을 수반한다. 연습이 어느 순간 유희가 되는 것이다.
3단계: 결과 대신 능력을 믿다
자신감. 연습은 성취라는 결실을 맺는다. 성취는 일을 지속시키는 원동력이 된다. 그러나 때론 연습을 할 만큼 했는데도 성취가 미미하거나 때론 전무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려면 자신감의 원천을 ‘결과’가 아닌 ‘일을 해낼 수 있는 능력’에 둬야 한다. 성취여부가 아니라 성취를 만들어 낼 수 있는 가능성과 잠재력에서 자신감을 충전해야 하는 것이다. 사회적 성취는 개인의 연습만으로 결정되지 않는다. 수많은 변수가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아무리 열심히 연습을 해도 원하는 결과가 나오지 않을 수 있다. 반대로 별다른 훈련을 하지 않아도 좋은 결과가 얻어지기도 한다. 외적 요인에 흔들리지 않고 자신감을 유지하려면 연습으로 쌓은 능력을 믿고 의지해야 한다.
타성으로 내모는 악순환의 법칙
악순환은 추락의 법칙이다. 싫어하는 일을 마지못해 지속하는 것은 신중한 연습이 아닌 지겨운 노동이 될 뿐이다. 당연하게도 만족감이나 성취는 찾을 길 없는 무의미한 반복이 되고, 이는 무기력한 타성으로 이어진다. 1만 시간 동안 한 분야에서 일을 했더라도 전혀 성과가 없다면 악순환의 법칙에 빠져 있을 가능성이 크다.
실천전략
머리 좋은 놈이 즐기는 놈 못 이긴다
결심과 실천과 지속의 세 박자가 성공을 부른다
옷의 크기에 따라 몸도 변한다
소걸음으로 먼 길을 간다
핵심에 매달려라
나는 다르다 고로 성공한다
실패는 오케이 패배는 노케이








댓글